용접사에게 WPS란?
안녕하세요^^
요즘 너무 바빠서 정신이 없습니다. 산업 전반에 걸쳐서 코로나바이러스 때문에 영향을 받은 듯한데요, 지금 어느 정도 진정세에 들어서서 여기저기서 정상화를 준비하는 모습이 한창입니다. 겨울이 많이 길었던 듯하지만 용접사분들도 이제 점점 바빠질 것 같습니다.

오늘은 WPS에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간혹 용접사들 중에서 WPS는 제대로 읽지도 않고 지시받은 대로만 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물론 팀장(Supervisor)에게서 "어떤 식으로 용접을 하여라"라고 설명을 듣겠지만 본인도 어떤 모재를 어떤 식으로 작업을 하는지에 대해서 자세히 알고 있어야 실수를 줄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용접사가 자세한 모든 것을 다 알고 있을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실무에 중요한 부분 정도는 알고 있는 것이 아무래도 도움이 되겠죠?
일단 WPS가 무슨 뜻인지를 알아보겠습니다.
WPS는 Welding Procedure Specification의 약자로 '용접 절차서'라고 표현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즉, 고객의 요구에 따라 용접이 진행되는 과정을 자세하게 표현한 설명서입니다.
먼저 아래의 예제를 보면(WPS는 영어가 많음...)

대표사진 삭제
WPS 무료샘플 from http://iwes.co.kr/

대표사진 삭제
WPS 무료샘플 from http://iwes.co.kr/
정보가 많다..
복잡해서 포기하기엔 이르다. 사실 용접사가 다 읽고 판단할 줄 알아야 하지만 일반적으로 최소한 지금 내가 하는 용접에 대한 부분만큼만 확실하게 안다면 일단 괜찮다고 생각합니다in my idea....
용접은 굉장히 넓은 영역의 분야이기 때문에 전문 용접사라 하더라도 다른 분야의 모두 다 알기는 힘들다. 하지만 본인의 분야에 관련된 내용이라면 매일 하는 일인데 이 종이는 생각보다 익숙한 아이일 수 있을 것이라 봅니다.
보통은 WPS 번호는 많은 것을 함축하고 있는 요약본이라 할 수 있겠다.
위의 WPS는 예제인지라 정보가 부족하여 다른 예를 들자면, WPS 번호가W-DS-GT-V-ALL-XXXX라고 하면
W - Welding
DS - Duplex
GT - GTAW
V - V형
ALL - 전 자세
XXXX - 일련번호
라는 내용으로 이 WPS 번호만 가지고도 대략적인 용접방식을 추측할 수 있게 됩니다.
처음부터 살펴보자면
- Joint Design, 즉 용접부 모양에 관한 내용. 맞대기인지, 필릿인지 등의 내용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그림이 첨부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 Base Metal 모재 재질과 두께 등의 내용
- Filler Metal 용접봉의 사양에 대한 내용
- Position 용접 자세와 용접 방향에 대한 내용
- Preheat / Postweld Heat Treatment: 예열과 후열에 관련한 내용
- Gas: 보호가스나 백킹가스의 가스 유량이나 종류에 대한 내용
- Electrical Characteristics: 용접기의 접지 형태 등에 대한 내용
- Technique: 비드 모양이나 용접부 처리 방식 등에 대한 내용
그리고 보통은 표로 용접 패스 마다 어떤 전류에 어떤 속도로 어떤 방식으로 용접을 해야 한다는 내용 등까지 상세하게 나와있습니다.
아마 모든 내용 중에서 용접사가 가장 생각해야 할 부분은 아무래도 실재 용접을 하는 부분일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만약 새로이 시작하는 작업이라면 처음부터 끝까지 두루 숙지하고 있어야겠지만, 지속되는 작업의 일부라 한다면 용접 입열량이나 예열과 후열, 혹은 용접부 처리 방식 등 특이사항을 확실하게 확인을 하는 것이 중요하지 않나 생각이 듭니다.
WPS는 회사마다, 따르는 협회마다 혹은 나라마다 작성방법이 상이하기 때문에 많이 접해보고 분석해보는 것이 중요하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능동적으로 공부하다보면 어느새 성장해 있겠죠?
그럼 오늘 하루도 수고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