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특수용접3

Tig용접 D+7 백비드는 뭣인가??? 처음 5G자세에서 백비드를 연습할땐 당연히 쉬운자세인 3시부터 12까지 용접을 하는 것인데 이전까지 하던 홈에 살을 채우는 것하고 많은 차이가 있다. 앞에서 연습하던 살을 채우던 연습은 위에다 일정하게 쌓으며 비드를 고르게 채우는게 목적이었다면, 백비드는 아래가 뚤린 곳에 용접봉을 데고 위빙을 함께 진행 하여야 하는데 깊은 개선면(Groove Face)에 텅스텐 전극이 닿이지 않게 그리고 일정한 용접풀크기를 유지하면서 일정한 용접봉을 집어넣지 못하면 아래의 백비드가 제대로 나오지 않게 된다는 복합적인 어려운점, 게다가 밑이 뚫려있어서 용접봉을 잘못 집어 넣는 경우 용접봉이 루트홈 사이로 계속 쳐 빠져서 사람 미치게 한다는 점이 가장 어려운 포인트라 할 수 있다. 음.. 그럼 일단 대략적인 설명을 위한 그.. 2020. 1. 12.
특수용접기능사, 그리고 용접봉 집어넣기 비드를 채우는 연습의 첫번째, 두번째 층을 채울 때는 양쪽 홈끝을 세라믹노즐에 기대어 왔다리 갔다리하는 식인데, 이때 유의 할 것은 일단 텅스텐 끝이 개선면과 용융풀에 닿지 않게 일정한 거리를 유지 할 것, 그리고 용접봉을 일정하게 집어 넣을 것이다. 5G자세는 수평인 파이프를 6시 방향부터 왼쪽으로 12시, 그리고 오른쪽으로 열두시방향까지 올라오는 식인데 홈이 지면에서 수직으로 서있는 상태라 용접봉은 홈의 중앙부에 위치하게 해서 양쪽으로 일정하게 펴바르는 식이다. 용접봉을 집어 넣는 손의 역할이 아주 중요하다고 몇번 강조하였는데, 사람 마다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아래의 그림처럼 손날을 모재에 기댄 후 용접봉을 중지의 끝자락에 기대듯 파지하는 형식이다. 누군가는 집개처럼 약지와 중지로 용접봉을 밀어 넣는다.. 2020. 1. 8.
용접사 여러분 한국말 씁시다 토치가 위빙을 할때 봉을 집어넣고 손이 빠진다. ​ "집어넣고 빠지고, 집어넣고 빠지고" ​ 원장님이 가르쳐 주실 때 항상 뒤에서 이 말씀을 하신다. 나는 혼자 할 때도 가르쳐 주실 때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 이 말을 계속 입으로 되뇐다. 분명 누군가는 신경 쓰이겠지만 다행히 아무도 이야기하지 않았다. 5G자세에서 용접봉은 중앙에 위치하는데, 이 용접 필러가 양쪽으로 잘 펴지게 위빙을 하며 경로를 이탈하지 않게 집중하여야 한다. 토치는 오른쪽 왼쪽으로 끊임없이 반복적으로 왔다 갔다 하고, 용접봉은 오뚜기처럼 다시 되돌아오는 용저봉에 대응해 일정한 박자를 갖고 움직인다. 텅스텐 전극으로 이 용융풀을 일정한 높이로 펴 바르듯이 박애롭게 오른쪽 왼쪽 균일하게 배분해 주어야 한다. 오늘은 다른 것은 다 제쳐두고.. 2020. 1. 7.